Global DNS
- Global DNS는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도메인 이름을 실제 접속 주소로 식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입니다.
- 개인이 직접 운영하기 어려운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를 클라우드 형태로 제공하여, 따로 DNS 서버를 구축할 필요 없이 웹 콘솔에서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1. 수월한 DNS 구축 및 관리
별도의 DNS 인프라 구축, 솔루션 설치 및 업데이트, 서버 용량 및 성능 관리를 포함한 일체의 운영 관리가 필요하지 않고 웹 기반 콘솔에서 도메인을 추가하는 것만으로 자체 DNS를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2. 서비스 연속성 보장
여러 대의 DNS 서버를 운영하여 1대의 DNS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DNS 서버에서 응답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며 도메인 변경 작업을 할 경우에도 각 DNS 서버의 데이터가 빠르게 동기화되어 서비스 중단 없이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
3. 손쉬운 도메인 설정
도메인은 소유하고 있지만 자체 DNS 서버가 없거나 DNS 구축 경험이 부족하더라도 웹 기반 콘솔에서 어려움 없이 도메인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A, TXT, MX, SPF 등 다양한 리소스 레코드를 설정할 수 있고 대량의 데이터도 손쉽게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4. 도메인 보안 인증 체계 제공
Global DNS는 국제표준으로 자리 잡은 DNS Security Extensions(DNSSEC)를 지원하여 응답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합니다. 단 한 번의 클릭만으로 손쉽게 DNSSEC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전자서명을 위한 키 생성 및 교체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자동으로 수행합니다.
Global DNS 생성
- 웹 서비스를 위해서는 도메인이 필요합니다.
- Global DNS 생성시에 도메인명을 입력해야하고, 도메인 구입시 네임서버를 설정할 수 있는데 이 네임서버는 DNS를 생성해야 확인 가능합니다.
- 그리고 네임서버의 경우 변경하면 적용까지 하루가 걸리기도 하니 도메인 구입 전 구입가능 여부를 확인 후 먼저 DNS를 생성하겠습니다.
1. Service -> Global DNS를 클릭합니다.
2. 도메인 추가를 클릭합니다.
3. 이름으로 도메인명을 입력해야 합니다. 이제 도메인을 정하러 가보겠습니다.
4. 후이즈, 가비아 등의 도메인 사이트들이 있지만 저는 먼저 사용중이던 가비아를 사용하겠습니다.
가비아 : https://domain.gabia.com/
5. 가비아를 둘러보고 원하는 도메인명을 적은 다음 검색을 클릭합니다.
2. 사용 가능한 도메인들이 나옵니다. 원하는 도메인을 선택 -> 신청하기를 클릭합니다.
3. 신청 페이지에서 조금 내려가보면 네임서버 설정이 보입니다.
여기서 타사 네임서버 사용을 해야하기 때문에 다시 ncp로 돌아가겠습니다.
4. 가비아에서 봐뒀던 도메인명을 입력하고 추가를 클릭합니다.
DNSSEC는 언제든지 적용 비적용 전환이 가능하기에 원할 시 적용합니다.
5. 도메인이 추가되었습니다. 네임서버 주소를 확인하고 다시 가비아로 돌아가겠습니다.
6. 도메인 할인은 1년만이기에 등록 기간을 1년으로 변경합니다.
7. 타사 네임서버 사용에 도메인에서 확인했던 네임서버 주소를 적어주고 약관 동의 및 다음 단계를 클릭합니다.
8. 결제를 진행하면 도메인 구매는 끝 입니다. 다시 NCP DNS로 돌아가겠습니다.
9. 콘솔에서 레코드 추가를 클릭합니다.
10. 정보들을 입력하고 추가를 클릭합니다.
IP도 Web01과 02의 IP를 전부 등록하여 부하분산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레코드명 : www
레코드 타입 : A (가장 기본적인 유형으로 도메인 이름을 IP에 직접 매핑하는 레코드)
레코드 값 : 175.45.194.147, 175.106.96.32 (Web01과 02의 IP, 여러 IP 등록시 줄바꿈으로 등록)
11. 레코드를 추가 했다고 바로 끝나는게 아닙니다. 꼭 설정 적용을 클릭해줍니다.
12. 변경사항을 확인하고 배포를 클릭합니다.
13. 설정은 위에서 다 해줬으니 확인을 클릭합니다.
14. 모든 설정이 끝났습니다. 도메인 연결에 시간이 조금 걸리니 적당히 1시간 후에 접속해보겠습니다.
15. 도메인으로 웹서버 접속이 가능해졌습니다. Web01과 02 어느 서버인지 구분이 안가니 웹페이지를 수정 해보겠습니다.
16. 웹페이지 수정을 위해 Web01과 02 서버에서 index.html을 수정하겠습니다.
cd /usr/share/nginx/html/
vi index.html
17. body에서 nginx 문구를 각 서버에 맞게 WEB01과 WEB02로 수정하고 저장합니다.
18. Web01과 Web02로 접속이 되는 것을 확인합니다.
DNS로 웹 서비스를 해보며 레코드에 여러개의 IP를 등록해서 부하분산도 해보았지만 정확한 부하분산을 제공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Load Balancer를 웹 서버와 연결하여 웹 서버로의 접근을 부하분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Load Balancer : https://angrycloud.tistory.com/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