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Naver_Cloud

[NCP] Rocky Linux 패키지 설치 에러

1. Rocky Linux 패키지 설치 에러"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ncloud의 Rocky Linux를 사용하는 도중 패키지 설치 시 에러가 발생하였는데 어째서 에러가 발생한건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nodejs를 설치하는데 에러코드 404가 발생했으며, 리눅스 공식 미러 사이트를 사용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ncloud에서 제공하는 OS 이미지들은 기본적으로 ncloud의 리포지토리를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지만 일단 해당 주소로 들어가보겠습니다.  3. 해당 주소로 들어가면 repo = rocky-extras-8.8 arch를 찾을 수 없다는 메시지와 함께 사용 가능한 저장소 목록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

Naver_Cloud

[NCP] Certificate Manager - SSL 인증서 발급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NCP의 Certificate Manager에 대해서는 https://angrycloud.tistory.com/32에 올렸었지만 최근 SSL 인증서 발급이 추가되었다길래 Certificate Manager를 통해서 SSL 인증서를 발급 받아보겠습니다. 다만 Certificate Manager에서 발급하는 SSL 인증서는 서버 자체에서 사용할 수 없고 Certificate Manager와 연동되는 Load Balancer나 CDN 같은 서비스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1. Service -> Security -> Certificate Manager를 클릭합니다. 2. 인증서 발급을 클릭합니다. 3. 인증서를 식별하기 위한 이름..

Naver_Cloud/Storage

[NCP] 16. NAS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NAS는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저장 공간으로, 다수의 사용자가 데이터를 공유할 때 적합한 서비스입니다. NAS 볼륨을 생성한 후 서버에 마운트하면 복수의 서버에서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1. 서버 간 편리한 데이터 공유 NAS에 저장한 데이터를 NAS 볼륨과 연결한 여러 개의 서버와 공유할 수 있습니다. 여러 서버로 구성된 특정 서비스에서 데이터를 공유해 사용할 수 있으며, 인증된 서버들만 접근이 가능합니다. 2. 효율적인 데이터 저장 및 비용 관리 기본 저장용량이 부족한 경우 최대 10TB까지 용량을 확장할 수 있어,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한 용량의 NAS 볼륨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용량의 NAS 볼륨..

Naver_Cloud/Compute

[NCP] 15. Auto Scaling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Auto Scaling은 특정 이벤트나 시간대에 자동으로 서버 수를 늘리거나 줄여 수요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입니다. 모니터링 기반, 스케줄링 기반으로 서버 수를 자동으로 늘리거나 줄이기 때문에 서버를 미리 생성해둘 필요가 없어 인프라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1. 모니터링 기반 실시간으로 시스템 지표 및 성능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 정보를 기반으로 리소스를 동적으로 조정합니다. 이는 트래픽 패턴이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에 유용합니다. 예시: CPU 사용률, 메모리 사용률, 네트워크 트래픽 등의 메트릭을 모니터링하고, CPU 사용률이 80%를 초과하면 자동으로 스케일 업을 수행하여 성능을 최적화합..

Naver_Cloud/Management & Governance

[NCP] 14. Cloud Insight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Cloud Insight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이 제공하는 서비스들의 성능 지표를 통합 관리하고, 장애 발생 시 담당자에게 장애 정보를 신속히 전달할 수 있는 모니터링 서비스입니다. Cloud Insight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 1. 지표 조회 및 시각화 NCP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의 성능/운영 지표를 시각화하여 확인이 가능하며, 1시간, 6시간, 12시간, 1일, 1주 등의 특정 기간만 확인 할 수도 있다. 2. 사용자 대시보드 구성 서비스들을 카테고리로만 대시보드에 분류하여 많은 사용자들이 확인할때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목적/대상별 사용자 대시보드를 따로 만들어 원하는 항목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3. Event Rule 및 Event 관리 특정 상황에 ..

Naver_Cloud/Security

[NCP] 13. Certificate Manager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SSL 인증서를 등록하고 NCP의 서비스(Load Balancer, CDN)와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 입니다. 등록된 인증서의 다양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고 인증서의 만료일이 다가오면 설정해둔 담당자에게 알람을 보낼 수도 있습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이전에 만들어둔 DNS를 통해 SSL 인증서를 발급 받고 Certificate Manager에 등록 및 ALB에 연계하여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1. 인증서 발급을 위해 Web01 서버에서 certbot을 설치합니다. # Certbot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EPEL 저장소가 필요합니다. # EPEL 저장소를 시스템에 추가합니다. yum -y ..

Naver_Cloud/Networking

[NCP] 12. Load Balancer - 2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서브 도메인(Sub domain) 서브 도메인은 메인 도메인 아래에 추가적인 도메인을 만드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blog.angrycloud.store에서 "blog"는 메인 도메인인 "ngrycloud.store" 아래에 있는 서브 도메인입니다. 서브도메인은 주로 다른 웹 사이트, 서비스 또는 콘텐츠의 분리된 버전을 호스팅하는 데 사용됩니다. 서브 디렉토리(Sub directory) 서브 디렉토리는 동일한 도메인 아래에 추가 경로로 웹 콘텐츠를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angrycloud.store/blog에서 "blog"는 "angrycloud.store" 도메인 아래의 서브디렉토리 입니다. 서브 디렉토리는 동일한 도메인 내에서 관련 콘텐츠를 구분..

Naver_Cloud/Networking

[NCP] 11. Load Balancer - 1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Load Balancer는 네트워크나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컴퓨터 자원에 대한 트래픽을 균형있게 분산시켜주는 중요한 기술적인 구성 요소입니다. 주로 대규모 웹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의 환경에서 사용되며, 여러 대의 서버에 들어오는 요청을 골고루 분산시켜 서버 부하를 분산시키고 가용성을 높이는 데 사용됩니다. NCP에서는 Application Load Balancer, Network Load Balancer, Network Proxy Load Balancer를 지원 중이며 이번 글에서는 Application Load Balancer와 Network Load Balancer를 사용해보겠습니다. Load Balancer 사용목적 1. 부하 분산 ..

Naver_Cloud/Networking

[NCP] 10. Global DNS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Global DNS는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도메인 이름을 실제 접속 주소로 식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입니다. 개인이 직접 운영하기 어려운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를 클라우드 형태로 제공하여, 따로 DNS 서버를 구축할 필요 없이 웹 콘솔에서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1. 수월한 DNS 구축 및 관리 별도의 DNS 인프라 구축, 솔루션 설치 및 업데이트, 서버 용량 및 성능 관리를 포함한 일체의 운영 관리가 필요하지 않고 웹 기반 콘솔에서 도메인을 추가하는 것만으로 자체 DNS를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2. 서비스 연속성 보장 여러 대의 DNS 서버를 운영하여 1대의 DNS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DNS 서버에서 응답할 수..

Naver_Cloud/Compute

[NCP] 9. Server Image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Server Image는 현재 사용 중인 서버의 현재 상태를 그대로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서버의 현재 상태를 이미지로 생성하기에 서버 내의 데이터가 그대로 저장되어 서버 백업으로 사용하거나 동일한 서버를 바로 추가생성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내 서버 이미지를 다른 리전으로 복제할 수도 있습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1. Server 목록에서 이미지를 생성할 서버를 선택 -> 서버 관리 및 설정 변경 -> 내 서버 이미지 생성을 클릭합니다. 2. 이미지를 구분하기 위해 이름과 메모를 적고 생성을 클릭합니다. 3. 내용을 확인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4. 좌측 메뉴에서 Server Image 탭으로 들어가보면 이미지가 생성중인데 조금 기다리다보면 생..